가룟유다의 비극과 사도 맛디아 ( 행1:15-26, 담임목사님 )
첨부파일
첨부파일
-
30 2025-06-29 12:29:35
-
34 2025-06-29 12:29:35
본문
성경말씀
1:15 모인 무리의 수가 약 백이십 명이나 되더라 그 때에 베드로가 그 형제들 가운데 일어서서 이르되
1:16 형제들아 성령이 다윗의 입을 통하여 예수 잡는 자들의 길잡이가 된 유다를 가리켜 미리 말씀하신 성경이 응하였으니 마땅하도다
1:17 이 사람은 본래 우리 수 가운데 참여하여 이 직무의 한 부분을 맡았던 자라
1:18 (이 사람이 불의의 삯으로 밭을 사고 후에 몸이 곤두박질하여 배가 터져 창자가 다 흘러 나온지라
1:19 이 일이 예루살렘에 사는 모든 사람에게 알리어져 그들의 말로는 그 밭을 아겔다마라 하니 이는 피밭이라는 뜻이라)
1:20 시편에 기록하였으되 그의 거처를 황폐하게 하시며 거기 거하는 자가 없게 하소서 하였고 또 일렀으되 그의 직분을 타인이 취하게 하소서 하였도다
설교요약 : 가룟 유다의 비극과 사도 맛디아 (행 1:15-26)
이 세상에는 두 부류의 사람이 있습니다.
죄를 지어 비극적인 최후를 맞이하는 사람과 죄를 회개하고 용서받아 새 삶을 사는 사람입니다.
1. 가룟 유다와 베드로
예수님의 열 두 제자 중에 가룟 유다와 베드로는 둘 다 예수님을 배신하는 죄를 지었습니다. 가룟 유다가 예수님을 배신한 동기는 '탐욕’입니다. 그는 돈궤를 맡아서 그 돈을 훔쳐갔으며(요 12:6), 은 30에 예수님을 팔아 넘겼습니다(마 26:15). 베드로 역시 예수님을 배신하고 세 번이나 부인하였는데 그 동기는 '두려움'이었습니다.
이후 예수님을 팔았던 유다는 스스로 뉘우쳐 은 삼십을 도로 갖다주었지만 뜻대로 되지 않자 스스로 목매어 죽었습니다(마 27:3-5). 반면 베드로는 닭 울음소리를 듣자 곧 예수님의 말씀이 생각나서 밖에 나가서 심히 통곡했습니다(마 26:75). 결론적으로, 가룟 유다와 베드로 모두 예수님을 배신하는 큰 죄를 저질렀지만, 그들의 ‘죄에 대한 반응'이 서로 다른 결말을 맞이하게 되었습니다. 유다는 자신의 죄에 대한 후회와 자책 가운데 회개하지 않고, 오히려 자기 자신을 살인하는 죄를 더하며 구원에 이르지 못했습니다. 그러나 베드로는 예수님의 말씀을 통해 자신의 연약함과 죄를 깨닫고 진심으로 회개함으로써 예수님의 용서를 받고 회복되어 위대한 사도로서 사명을 감당하게 되었습니다.
2. 주님이 택하신 사도 맛디아
마가의 다락방에 모인 백 이십여 명은 약속하신 성령을 기다리며 기도에 힘썼습니다. 그때에 베드로가 일어나 유다를 가리켜 말씀하신 성경이 성취되었음을 증거합니다. 또한 성경에 기록된 대로 유다의 직분을 대신할 새로운 사도를 뽑아야 함을 선포합니다. 새로 뽑을 사도의 자격은 첫째, 주 예수께서 우리 가운데 출입하실 때에 항상 우리와 함께 다니던 사람이어야 합니다. 둘째, 우리와 더불어 예수께서 부활하심을 증언할 사람입니다.
베드로의 말을 듣고, 모인 무리들은 사도의 자격에 합당한 두 사람을 내세웁니다. '바사바'라고도 하고 별명은 '유스도'라고 하는 먼저 이름이 기록된 '요셉'과, 아무 설명도 없는 '맛디아'입니다. 아마도 무리들은 요셉이 사도로서 더 자격이 있다고 생각했는지도 모릅니다. 그러나 그들은 투표를 통해서 사도를 뽑지 않고, 기도하여 하나님의 뜻을 물었습니다. 그리고 구약성경에 기록된 방법인 제비를 뽑아서 맛디아를 사도로 세우게 되었습니다.
맛디아를 사도로 세우는 과정을 통해서 알 수 있는 사실은 첫째, 모든 직분은 하나님께서 내게 맡기신 영광스러운 직분임을 믿어야 합니다. 둘째, 유다처럼 직분을 함부로 버려서는 안 됩니다. 셋째, 내가 아니더라도 하나님께서 빈자리를 채울 일꾼을 세우십니다. 넷째, 제자의 자격은 언제나 주님과 함께하며, 교회 공동체와 함께하는 사람입니다. 다섯째, 주님의 제자는 그리스도의 부활을 증언할 증인의 사명이 있습니다. 우리 모두 주님의 제자로서 맡기신 직분에 충성합시다.
생활 나눔
1. 한주 동안 살면서 감사해야 할 일은 무엇인가요?
2. 한주 동안 살면서 힘들거나 고통스러운 일은 무엇인가요?
3. 같이 기도해서 응답받을 기도제목은 무엇인가요?
말씀 나눔
1. 오늘 말씀에서 나에게 주시는 은혜의 말씀은 무엇인가요?
2. 오늘 말씀에서 깨달은 것은 무엇이며, 고침을 받고 회개할 것은 무엇인가요?
3. 오늘 말씀에서 내가 붙잡고 살아야 할 소망의 말씀은 무엇인가요?
페이지 정보
444 2025.06.29 11:09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