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아홉은 어디 있느냐? ( 눅 17:11-19, 노영상 목사님 )
첨부파일
첨부파일
-
41 2022-07-03 12:32:22
-
44 2022-07-03 12:32:22
본문
성경말씀
11 예수께서 예루살렘으로 가실 때에 사마리아와 갈릴리 사이로 지나가시다가
12 한 마을에 들어가시니 나병환자 열 명이 예수를 만나 멀리 서서
13 소리를 높여 이르되 예수 선생님이여 우리를 불쌍히 여기소서 하거늘
14 보시고 이르시되 가서 제사장들에게 너희 몸을 보이라 하셨더니 그들이 가다가 깨끗함을 받은지라
15 그 중의 한 사람이 자기가 나은 것을 보고 큰 소리로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며 돌아와
16 예수의 발 아래에 엎드리어 감사하니 그는 사마리아 사람이라
17 예수께서 대답하여 이르시되 열 사람이 다 깨끗함을 받지 아니하였느냐 그 아홉은 어디 있느냐
18 이 이방인 외에는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러 돌아온 자가 없느냐 하시고
19 그에게 이르시되 일어나 가라 네 믿음이 너를 구원하였느니라 하시더라
설교요약: 그 아홉은 어디 있느냐? (눅 17:11-19)
하나님은 우리에게 “맥추절을 지키라” 말씀하셨습니다.
맥추절은 하나님께서 햇빛과 비를 주셔서 곡식을 추수할 수 있게 해주심을 감사하는 것으로 시작하여 출애굽 후 시내산에서 말씀을 주시고, 또한 예수님을 보내셔서 우리를 죄에서 구원하시고 성령을 보내주심까지 이어지는 절기입니다.
맥추절의 감사가 물질에서 시작하여 말씀과 성령을 부어 주시는 하나님의 은혜임을 알 수 있습니다.
감사는 작은 것에서부터 시작하여 더 큰 감사를 낳고, 더 큰 은혜로 이어지는 능력이 있기에 하나님은 감사절을 지키라 하셨습니다.
1. 예수님은 나병환자들이 사는 마을에 의도적으로 들어가셨습니다.
당시 나병환자들은 격리된 곳에 모여서 살아야만 했습니다.
나병은 불치의 병이요, 전염병이 되는 부정한 병이어서 저주의 병이라 하여 아무도 가까이할 수 없고 가족으로부터도 떨어져 살아야 했습니다.
그래서 나병환자는 옷을 찢고 머리를 풀며 윗입술을 가리고 “부정하다 부정하다”하고 외쳐야 했습니다.
그런데 예수님께서 그들이 살고있는 마을로 들어가신 이유는 그들을 불쌍히 여기셨기 때문입니다.
그때 나병환자 열 명이 예수님을 만나 멀리 서서 소리를 높여 이르되 “예수 선생님이여 우리를 불쌍히 여기소서" 외치자 예수님은 “가서 너희 몸을 제사장에게 보이라” 하셨는데, 그들이 가다가 깨끗함을 받았습니다.
여기서 제사장에게 가서 네 몸을 보이라 하는 것은 병이 다 나았음을 말씀하신 것이기 때문입니다.
주님이 그들을 고쳐주기 위해 가셨을지라도 그들이 예수님께 간구하므로 낫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큰 소리로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며 돌아와 예수님의 발아래 엎드려 감사한 사람은 사마리아 사람 한 명 뿐이었습니다.
2. 예수님은 “열 사람이 다 깨끗함을 받지 아니하였느냐? 그 아홉은 어디 있느냐?”하시며 안타까워하셨습니다.
1) 주님은 열 명이 다 나은 것을 아셨는데 그것은 주님께서 그들을 고쳐주셨기 때문입니다.
주님은 지금도 우리를 죄와 모든 약함과 병에서 고쳐주셨습니다.
그런데 사마리아 사람처럼 주님께 엎드려 감사하는 사람은 찾기가 어렵습니다.
주님께서 아홉을 찾으신 이유는 감사를 받지 못해서가 아니라 더 이상 구원을 베풀어 줄 수 없기 때문입니다.
지금도 주님의 안타까움이 바로 이것 때문입니다.
2) 주님은 감사하는 사마리아 사람에게 “가라 네 믿음이 너를 구원하였느니라” 하셨는데 여기서 구원은 죄에서 구원입니다.
주님은 감사하는 믿음을 기뻐하시며, 영혼의 구원, 성화의 구원을 베풀어 주시기 때문에 주님은 더 큰 은혜를 주시려고 맥추절을 주셨습니다.
생활 나눔
1. 한주 동안 살면서 감사해야 할 일은 무엇인가요?
2. 한주 동안 살면서 힘들거나 고통스러운 일은 무엇인가요?
3. 같이 기도해서 응답받을 기도제목은 무엇인가요?
말씀 나눔
1. 오늘 말씀에서 나에게 주시는 은혜의 말씀은 무엇인가요?
2. 오늘 말씀에서 깨달은 것은 무엇이며, 고침을 받고 회개할 것은 무엇인가요?
3. 오늘 말씀에서 내가 붙잡고 살아야 할 소망의 말씀은 무엇인가요?
페이지 정보
4,094 2022.07.03 09:25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