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과 용서 ( 마 18:21-35, 담임 목사님 )

첨부파일

첨부파일

본문

성경말씀

18:21 그 때에 베드로가 나아와 이르되 주여 형제가 내게 죄를 범하면 몇 번이나 용서하여 주리이까 일곱 번까지 하오리이까
18:22 예수께서 이르시되 네게 이르노니 일곱 번뿐 아니라 일곱 번을 일흔 번까지라도 할지니라
18:23 그러므로 천국은 그 종들과 결산하려 하던 어떤 임금과 같으니
18:24 결산할 때에 만 달란트 빚진 자 하나를 데려오매
18:25 갚을 것이 없는지라 주인이 명하여 그 몸과 아내와 자식들과 모든 소유를 다 팔아 갚게 하라 하니
18:26 그 종이 엎드려 절하며 이르되 내게 참으소서 다 갚으리이다 하거늘
18:27 그 종의 주인이 불쌍히 여겨 놓아 보내며 그 빚을 탕감하여 주었더니
18:28 그 종이 나가서 자기에게 백 데나리온 빚진 동료 한 사람을 만나 붙들어 목을 잡고 이르되 빚을 갚으라 하매
18:29 그 동료가 엎드려 간구하여 이르되 나에게 참아 주소서 갚으리이다 하되
18:30 허락하지 아니하고 이에 가서 그가 빚을 갚도록 옥에 가두거늘
18:31 그 동료들이 그것을 보고 몹시 딱하게 여겨 주인에게 가서 그 일을 다 알리니
18:32 이에 주인이 그를 불러다가 말하되 악한 종아 네가 빌기에 내가 네 빚을 전부 탕감하여 주었거늘
18:33 내가 너를 불쌍히 여김과 같이 너도 네 동료를 불쌍히 여김이 마땅하지 아니하냐 하고
18:34 주인이 노하여 그 빚을 다 갚도록 저를 옥졸들에게 넘기니라
18:35 너희가 각각 마음으로부터 형제를 용서하지 아니하면 나의 하늘 아버지께서도 너희에게 이와 같이 하시리라

설교요약 : 사랑과 용서 (마 18:21-35)

  지금 우리는 '용서가 실종된 시대'에 살고 있습니다. 
그러나 용서없이는 사랑도, 삶도, 미래도 없습니다.

1. 용서의 한도
  베드로가 예수님께 물었습니다. 
“주여 형제가 내게 죄를 범하면 몇 번이나 용서하여 주리이까? 일곱 번까지 하오리이까?” 베드로는 스스로 이 정도면 충분히 너그럽다고 생각했을 것입니다. 
그러나 예수님은 이렇게 말씀하셨습니다. 
“네게 이르노니 일곱 번뿐 아니라 일곱 번을 일흔 번까지라도 할지니라.” 예수님께서 쓰신 단어가 77번으로 번역될 때도 있고, 490번으로 번역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정확한 횟수에 초점을 맞추면 예수님의 본뜻을 완전히 놓치게 됩니다. 
성경에서 7은 완전함을 상징하기 때문에 예수님께서 말씀하신 뜻은 용서에는 한도가 없다는 것입니다. 
이미 베푼 용서의 횟수를 세는 것은 무의미합니다. 
왜냐하면 아직 용서의 횟수를 세고 있는 사람은 아직까지도 용서하지 않은 것이기 때문입니다.

2. 용서 하지 않은 종의 비유
  어떤 임금이 종들과 결산할 때에 '만 달란트 빚진 자'를 데려왔습니다. 
만 달란트는 대략 7조에 해당하는 금액입니다. 
그 종은 엎드려 절하며 “내게 참으소서 다 갚으리이다” 간청했을 때, 그 주인은 그를 불쌍히 여겨 놓아 보내며 그 빚을 탕감해 주었습니다. 
그 후에 그 종이 나가서 자기에게 백 데나리온(약 천 만원) 빚진 동료 한 사람을 만나 붙들어 목을 잡고 “빚을 갚으라!” 했습니다. 
그 동료는 자신이 왕 앞에서 간청한 것과 똑같이 “나에게 참아 주소서 갚으리이다” 했지만 허락하지 않고 그를 옥에 가두었습니다. 
이 소식을 들은 왕은 그 종을 불러 “악한 종아! 네가 빌기에 내가 네 빚을 전부 탕감하여 주었거늘, 내가 너를 불쌍히 여김과 같이 너도 네 동료를 불쌍히 여김이 마땅하지 아니하냐!” 하고 노하여 그 빚을 다 갚도록 그를 옥졸들에게 넘겼습니다. 
이 용서하지 않은 종이 누구입니까? 바로 우리들입니다! 또한 용서하지 않는 자는 자기 자신을 원한과 분노와 미움과 갈등과 복수의 감옥에 가두는 고통 속에 살게 됩니다.

3. 하나님께 받은 용서와 다른 사람에게 베푸는 용서
  이 두 가지 용서는 서로 맞물려 있습니다. 
35절을 보면 “너희가 각각 마음으로부터 형제를 용서하지 아니하면, 나의 하늘 아버지께서도 너희에게 이와 같이 하시리라” 이 말씀은, 우리가 먼저 다른 사람을 용서해야 하나님의 용서도 얻어 낼 수 있다는 뜻이 아닙니다. 
왕이 먼저 갚을 수 없는 빚을 탕감해 주었습니다. 
여기서 중요한 사실은, 누군가의 빚을 탕감해 주려면 그 빚을 자신이 부담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즉 용서한다는 것은, 잘못의 대가가 가해자에게서 자신에게로 넘어온다는 뜻입니다. 
즉 복수하지 않고 용서하는 것은 대가를 자신이 치르겠다는 선택입니다. 
그것이 바로 우리 주님의 십자가 죽음입니다. 
인간의 용서는 하나님께 받은 용서에 기초해야 합니다. 
하나님의 용서를 많이 경험한 사람이 진정한 용서의 사람이 됩니다.

생활 나눔
1. 한주 동안 살면서 감사해야 할 일은 무엇인가요?
2. 한주 동안 살면서 힘들거나 고통스러운 일은 무엇인가요?
3. 같이 기도해서 응답받을 기도제목은 무엇인가요?

말씀 나눔
1. 오늘 말씀에서 나에게 주시는 은혜의 말씀은 무엇인가요?
2. 오늘 말씀에서 깨달은 것은 무엇이며, 고침을 받고 회개할 것은 무엇인가요?
3. 오늘 말씀에서 내가 붙잡고 살아야 할 소망의 말씀은 무엇인가요?

페이지 정보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