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왜 예수 앞에 나오는가 ( 눅 15:11-32, 노성국 목사님 )
첨부파일
첨부파일
-
39 2023-10-29 12:21:49
-
41 2023-10-29 12:21:49
본문
성경말씀
11 또 이르시되 어떤 사람에게 두 아들이 있는데
12 그 둘째가 아버지에게 말하되 아버지여 재산 중에서 내게 돌아올 분깃을 내게 주소서 하는지라 아버지가 그 살림을 각각 나눠 주었더니
13 그 후 며칠이 안 되어 둘째 아들이 재물을 다 모아 가지고 먼 나라에 가 거기서 허랑방탕하여 그 재산을 낭비하더니
14 다 없앤 후 그 나라에 크게 흉년이 들어 그가 비로소 궁핍한지라
15 가서 그 나라 백성 중 한 사람에게 붙여 사니 그가 그를 들로 보내어 돼지를 치게 하였는데
16 그가 돼지 먹는 쥐엄 열매로 배를 채우고자 하되 주는 자가 없는지라
17 이에 스스로 돌이켜 이르되 내 아버지에게는 양식이 풍족한 품꾼이 얼마나 많은가 나는 여기서 주려 죽는구나
18 내가 일어나 아버지께 가서 이르기를 아버지 내가 하늘과 아버지께 죄를 지었사오니
19 지금부터는 아버지의 아들이라 일컬음을 감당하지 못하겠나이다 나를 품꾼의 하나로 보소서 하리라 하고
20 이에 일어나서 아버지께로 돌아가니라 아직도 거리가 먼데 아버지가 그를 보고 측은히 여겨 달려가 목을 안고 입을 맞추니
21 아들이 이르되 아버지 내가 하늘과 아버지께 죄를 지었사오니 지금부터는 아버지의 아들이라 일컬음을 감당하지 못하겠나이다 하나
22 아버지는 종들에게 이르되 제일 좋은 옷을 내어다가 입히고 손에 가락지를 끼우고 발에 신을 신기라
23 그리고 살진 송아지를 끌어다가 잡으라 우리가 먹고 즐기자
24 이 내 아들은 죽었다가 다시 살아났으며 내가 잃었다가 다시 얻었노라 하니 그들이 즐거워하더라
25 맏아들은 밭에 있다가 돌아와 집에 가까이 왔을 때에 풍악과 춤추는 소리를 듣고
26 한 종을 불러 이 무슨 일인가 물은대
27 대답하되 당신의 동생이 돌아왔으매 당신의 아버지가 건강한 그를 다시 맞아들이게 됨으로 인하여 살진 송아지를 잡았나이다 하니
28 그가 노하여 들어가고자 하지 아니하거늘 아버지가 나와서 권한대
29 아버지께 대답하여 이르되 내가 여러 해 아버지를 섬겨 명을 어김이 없거늘 내게는 염소 새끼라도 주어 나와 내 벗으로 즐기게 하신 일이 없더니
30 아버지의 살림을 창녀들과 함께 삼켜 버린 이 아들이 돌아오매 이를 위하여 살진 송아지를 잡으셨나이다
31 아버지가 이르되 얘 너는 항상 나와 함께 있으니 내 것이 다 네 것이로되
32 이 네 동생은 죽었다가 살아났으며 내가 잃었다가 얻었기로 우리가 즐거워하고 기뻐하는 것이 마땅하다 하니라
설교요약: 나는 왜 예수 앞에 나오는가 (눅 15:11-32)
예수님은 자신에게 나아온 두 부류의 사람들에게 잃어버린 두 아들의 비유를 말씀해주셨습니다.
우리는 어느 부류에 속하는 아들일까요?
1. 비유 속의 둘째 아들은 모든 세리와 죄인들을 의미합니다.
둘째 아들은 아버지에게 자신이 받을 유산을 미리 달라는 무례한 요구를 합니다.
당시 유산의 분배는 아버지의 사후에만 이루어졌기에 이 요구는 아버지가 죽기를 바라다고 말하는 것과 같았습니다.
즉 둘째 아들은 아버지의 재산만 원할 뿐 아버지는 필요 없다는 것입니다.
그럼에도 아버지의 반응은 충격적이게도 그 살림을 각각 나누어주었습니다.
둘째 아들은 그 재물을 가지고 아버지를 떠나 먼 나라에 가서 허랑방탕하여 그 재산을 다 날리게 되었고, 결국 돼지보다 못한 신세가 되어 굶어 죽게 되자 스스로 돌이켜 자기 죄를 회개하며 아버지 품으로 돌아왔습니다.
예수님 당시의 세리와 죄인들은 성경의 율법도 지키지 않고 도덕적, 윤리적으로도 허랑방탕했지만 말씀을 듣고 자신들이 진정으로 죄인임을 깨닫고 스스로 돌이켜 예수님 앞으로 나아왔습니다.
2. 비유 속의 첫째 아들은 바리새인과 서기관들을 의미합니다.
맏아들은 아버지를 떠난 일이 없고, 여러 해 동안 아버지를 섬겨 명을 어긴 적도 없었으나 그야말로 잃어버린 아들이요, 더 위험한 아들이었습니다.
예수님 당시의 바리새인과 서기관들도 성경의 율법과 유대인의 전통을 어김이 없이 지켰지만 주님은 그들의 신앙을 지적하고 책망하십니다.
그렇다면 맏아들과 같은 그들의 문제는 무엇일까요?
첫째, 몸은 아버지와 가까이 있었으나 마음은 멀어져 있었습니다.
둘째, 기쁨이나 사랑 없이 노예처럼 의무감과 두려움으로 순종했습니다.
셋째, 자신이 일한 대가와 보상을 바라고 순종했습니다.
넷째, '자기 의'와 '자기 우월감'을 가지고 동생의 잘못을 비난하며 용납하지 못했습니다.
다섯째, 아버지의 것이 다 자신의 것임을 깨닫지 못했습니다.
3. 비유 속의 두 탕자의 아버지는 탕부 하나님을 의미합니다.
"21세기의 c.S 루이스”라 불리는 팀 켈러는 이 본문을 주제로 ITHE PRODIGAL GOD」 이라는 책을 썼습니다.
여기서 Prodigal은 '무모할 정도로 헤프게 베푸는', '남김 없이 다 써버리는' 이라는 의미로, 두 아들이 모두 틀렸는데도 아버지는 둘 다 소중히 여겨 사랑의 잔치 속으로 부르십니다.
마찬가지로 하나님은 우리 모두에게 사랑을 낭비하고 탕진하시는 아버지이십니다.
앞뒤 재지 않고 아낌없이 다 내주시는 분이십니다.
그런 의미에서 그분은 자녀인 우리에게 그야말로 '탕부' 이십니다.
하나님의 무모한 은혜야말로 우리의 가장 큰 소망이요.
삶을 변화시키는 능력입니다. 그 아름다운 아버지의 품으로 돌아랍시다.
생활 나눔
1. 한주 동안 살면서 감사해야 할 일은 무엇인가요?
2. 한주 동안 살면서 힘들거나 고통스러운 일은 무엇인가요?
3. 같이 기도해서 응답받을 기도제목은 무엇인가요?
말씀 나눔
1. 오늘 말씀에서 나에게 주시는 은혜의 말씀은 무엇인가요?
2. 오늘 말씀에서 깨달은 것은 무엇이며, 고침을 받고 회개할 것은 무엇인가요?
3. 오늘 말씀에서 내가 붙잡고 살아야 할 소망의 말씀은 무엇인가요?
페이지 정보
2,313 2023.10.29 09:29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