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 08월 17일 우리는 함께 아파하며 만들어져...
페이지 정보
12,798 2016.03.09 13:02
본문
우리는 함께 아파하며 만들어져 갑니다.
여기서 함께 아파하는 이유는 우리는 가정이나 교회 그리고 사회의 공동체
생활에서 r관계 속에서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우리는 개별적인 존재임에도 불구하고 서로가 서로에게
존재의 일부가 되어 살아간다는 말입니다
그러나 우리만 서로 관계 속에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께서도 우리와 함께 존재하시며 관계하시기에 우리로 인하여 아파하시고,
또한 기뻐하십니다.
그 예로 성경은 때로는 하나님과 우리와의 관계를 절대적 생존의 관계인 목자와 양으로,
본능적인 절대적 사랑의 관계로 젖먹이는 어미와 아이의 관계로,
한 몸으로 존재하는 남편과 아내의 관계로, 탕자의 비유를 통해 아들이 돌아오기를
기다리시는 아버지의 애절한 사라의 관계를 말합니다.
따라서 우리에게 일어나는 모든 일들은 우리의 실수나 부주의 때문이지만
우리는 관계 속에서 서로가 존재의 일부가 되어 살아가기에 형제에게도
하나님에게도 통을 줍니다
그러나 분명한 것은 관계를 통해서 우리가 때로는 아픔을 당하지만
하나님께서는 이모든 것을 통해서 우리를 성숙한 사람으로 만들어 가십니다.
우리가 관계 속에서 형제로 인하여 기뻐하고 고통을 당하듯이 하나님께도
우리로 인하여 기뻐하고 고통스러워합니다.
회개하여 돌아올때는 한없이 기뻐하시며, 리의 작은 순종과 사랑의 고백에도
크게 감격해 하십니다.
그래서 성경의 위대한 인물들은 크고 광대하신 하나님을 인정하고 의지하므로
광대하신 하나님을 경험하고, 전능하신 하나님을 믿고 의지하므로
능력있는 삶을, 전 존재를 맡기므로 전 삶을 인도해 주셨습니다.
그런데 하나님의 고통은 이런 광대하시고 능력의 하나님이 우리와 함께
존재하시고 관계하시는데 그 하나님을 믿고 의지하지 않고 살아가므로
무능력한 존재로 살아가는 것입니다.
여기서 함께 아파하는 이유는 우리는 가정이나 교회 그리고 사회의 공동체
생활에서 r관계 속에서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우리는 개별적인 존재임에도 불구하고 서로가 서로에게
존재의 일부가 되어 살아간다는 말입니다
그러나 우리만 서로 관계 속에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께서도 우리와 함께 존재하시며 관계하시기에 우리로 인하여 아파하시고,
또한 기뻐하십니다.
그 예로 성경은 때로는 하나님과 우리와의 관계를 절대적 생존의 관계인 목자와 양으로,
본능적인 절대적 사랑의 관계로 젖먹이는 어미와 아이의 관계로,
한 몸으로 존재하는 남편과 아내의 관계로, 탕자의 비유를 통해 아들이 돌아오기를
기다리시는 아버지의 애절한 사라의 관계를 말합니다.
따라서 우리에게 일어나는 모든 일들은 우리의 실수나 부주의 때문이지만
우리는 관계 속에서 서로가 존재의 일부가 되어 살아가기에 형제에게도
하나님에게도 통을 줍니다
그러나 분명한 것은 관계를 통해서 우리가 때로는 아픔을 당하지만
하나님께서는 이모든 것을 통해서 우리를 성숙한 사람으로 만들어 가십니다.
우리가 관계 속에서 형제로 인하여 기뻐하고 고통을 당하듯이 하나님께도
우리로 인하여 기뻐하고 고통스러워합니다.
회개하여 돌아올때는 한없이 기뻐하시며, 리의 작은 순종과 사랑의 고백에도
크게 감격해 하십니다.
그래서 성경의 위대한 인물들은 크고 광대하신 하나님을 인정하고 의지하므로
광대하신 하나님을 경험하고, 전능하신 하나님을 믿고 의지하므로
능력있는 삶을, 전 존재를 맡기므로 전 삶을 인도해 주셨습니다.
그런데 하나님의 고통은 이런 광대하시고 능력의 하나님이 우리와 함께
존재하시고 관계하시는데 그 하나님을 믿고 의지하지 않고 살아가므로
무능력한 존재로 살아가는 것입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